Skip to content

boostcampaitech3/level2-klue-level2-nlp-07

Repository files navigation

BoostCamp AI Tech: KLUE Relation Extraction Competition

Badge Badge

발표자료



대회 개요

문장 속에서 단어간에 관계성을 파악하는 것은 의미나 의도를 해석함에 있어서 많은 도움을 준다.

그림의 예시와 같이 요약된 정보를 사용해 QA 시스템 구축과 활용이 가능하며, 이외에도 요약된 언어 정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시스템 및 서비스 구성이 가능하다.

  • 관계 추출(Relation Extraction)은 문장의 단어(Entity)에 대한 속성과 관계를 예측하는 문제이다. 관계 추출은 지식 그래프 구축을 위한 핵심 구성 요소로, 구조화된 검색, 감정 분석, 질문 답변하기, 요약과 같은 자연어처리 응용 프로그램에서 중요하다. 비구조적인 자연어 문장에서 구조적인 triple을 추출해 정보를 요약하고, 중요한 성분을 핵심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문장, 단어에 대한 정보를 통해 ,문장 속에서 단어 사이의 관계를 추론하는 모델을 학습시킨다. 이를 통해 우리의 인공지능 모델이 단어들의 속성과 관계를 파악하며 개념을 학습할 수 있다.

  • 클래스 정보: 총 30개의 Class

  • Baseline 디렉토리 구조

    ├── code
    │   ├── __pycache__
    │   ├── best_model
    │   ├── logs
    │   ├── prediction
    │   └── results
    └── dataset
        ├── test
        └── train
    
  • Baseline 파일 포함 디렉토리 구조

    ├── code
    │   ├── __pycache__
    │   │   └── load_data.cpython-38.pyc
    │   ├── best_model
    │   ├── dict_label_to_num.pkl
    │   ├── dict_num_to_label.pkl
    │   ├── inference.py
    │   ├── load_data.py
    │   ├── logs
    │   ├── prediction
    │   │   └── sample_submission.csv
    │   ├── requirements.txt
    │   ├── results
    │   └── train.py
    └── dataset
        ├── test
        │   └── test_data.csv
        └── train
            └── train.csv
    

2주동안 수행한 작업들

  • 그라운드 룰 정하기

  • EDA
    • 간단한 EDA 및 분포
    • .csv에서 entity 입력 부분에 type이 저장되어 있어, Entity CLUE로서 부여: sub [SEP] obj
  • Taxt Data Augmentation
    • ktextaug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한국어 augmentation
    • 한국어 맞춤법을 망가뜨리는 형식의 노이즈 추가.
  • Special Token
  • 모델
    • 모델 선택
      • klue/bert-base, klue/roberta-small, klue/roberta-base, klue/roberta-large
      • ko-ELECTRA
    • 모델 아키텍처 수정
      • klue/bert-base, klue/roberta-large
  • TAPT
  • 편의성 개선
    • 깃허브 레포 체계적 관리(master - feature 브렌치로 구성)
      • 깃허브 PR 양식 설정하고, 깃허브 master branch에 PR 및 push하면 Slack에 알림
    • 쉘 스크립트를 활용한 하이퍼 파라미터 관리
    • Slack Workflow 알람
      • 매일 오후 9시, 추가적인 제출을 원하는 인원 파악

실패(그렇게 2주가 흘러갔습니다...)


## 각성
  • 멘토님의 조언
    • 제대로 된 이유가 없이 그저 리더 보드의 지표 만을 올리기 위한 비교 실험 같다.
    • Task와 관련된 논문을 제대로 읽어보지 않은 느낌이다.
    • 모델, Task, 데이터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느낌이다.

원인 분석

  • Metric에 대한 이해 부족
    • 오로지 F1만 바라보고 달려옴 → 실제로는 F1, AUPRC, Loss 등 모든 것이 중요했다
  • 논문에 대한 이해 부족
    • 좋은 성능을 낸, 따라할만해 보이는 논문을 아무런 분석과 인사이트 없이 그저 따라서 구현만 함.
  • Github으로 협업하기 <절망편>
    • 팀원들과 반성하며 중간 결산 코드 업데이트를 하던 중 special entity token 관련 실험하던 코드가 이전 버전으로 덮어 씌워진 것을 발견함.
    • 그렇게 2주동안 의미 없는 실험을 했다는 것을 깨닫고 상심하여 울기도 함.
  • Backtranslation의 entity 손상 가능성을 두려워 해서 시도해 보지도 않았다
    • 토론 게시판에 공유된 정보만 취하고, 이를 실제로 구현하지 않음
  •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을 게을리 하였다
    • 직전 대회의 경험이 치명적으로 다가옴 (기본 모델 맹신과 하이퍼 파라미터 중요하게 생각 X)
  • 모델에 대한 고려 부족
    • bert-base 모델만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조언 이후 roberta-large 모델에서도 실험
    • Roberta-large로 실험을 하려니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저번 이미지 대회 팀에서 python lightning AMP를 활용하신게 기억나서 huggingface에도 비슷한 기능이 없나 찾아보게 되었다. → fp16을 알게 되었다. (공식 문서의 중요성을 한번더 느낌)

5일간의 버닝

  • 하이퍼 파라미터 튜닝

    • max_len 128 설정(논문 설정), fp16 사용 → 실험 시간 대폭 단축
    • 현재까지 실험 모델 중 성능이 가장 좋은 roberta-large를 선택
    • klue/roberta-large의 논문에서 사용했던 하이퍼 파라미터를 위주로 다시 실험
    • LR 이 터닝 포인트
    • Focal loss (gamma 실험)
    • warmup ratio, weight decay, dropout = 0.0 세팅으로 지나친 일반화 억제
  • Augmentation

    • Backtranslation: googletrans 라이브러리 활용, 한→영→한 번역을 거친 데이터셋 약 4만여개 확보(ver1: 번역 전 entity들을 특수 문자로 치환하여 보존, ver2: 통짜 번역 후 entity 원형이 보존된 것만 픽업)
  • Special Token(Entity Marker) 적극 도입

    • An Improved Baseline for Sentence-level Relation Extraction(2019)를 참고, special token 추가 여부에 대한 성능 분석

    •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Entity Type을 제안

      • 실험(Roberta-Large)
        • punctuation: [CLS] sub [SEP] obj [SEP] a b c @ sub @ d e # obj # f g [SEP]
        • entity token: [CLS] sub [SEP] obj [SEP] a b c <S:NER_TYPE> sub </S:NER_TYPE> d e <O:POS_TYPE> obj </O:POS_TYPE> f g [SEP]
        • typed entity marker(punct): [CLS] sub [SEP] obj [SEP] a b c @ * SUB_NER * sub @ d e # ^ OBJ_NER ^obj # f g [SEP]
      • 분석
        • 논문에서 말하고 있는대로 Entity를 함께 주었을 때 성능이 월등히 좋았음
          • Entity Type이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 Entity 위치와 type을 한꺼번에 주는게 아니라 각각 따로 표시해주는 것이 성능 향상에 더 좋았음.
  • Entity type 유형 및 모델 실험

  • 질문형 문장

    • 첫주차 오피스 아워에서 힌트를 얻어 실험(Single vs Multi)

      • 두가지 문장을 함께 입력 받는 BERT의 구조를 그대로 가져갈 수 있도록 raw sentence 뒤에 문장을 하나 더 붙여주면 어떨까?

      • 문장 뒤에 해당 질문 추가:
        • [CLS] sub [SEP] obj [SEP] a b c @ * SUB_NER * sub @ d e # ^ OBJ_NER ^ obj # f g [SEP] 이 문장에서 sub 와(과) obj 은(는) 어떤 관계일까? [SEP]
        • 추가해준 경우 성능이 향상
    • 그렇다면 질문으로 들어가는 내용도 중요하게 작용할까?

      • 질문
        • 이 문장에서 sub와(과) obj 은(는) 어떤 관계일까?
        • 에서 sub 와(과) obj 은(는)?
        • 에서 sub 와(과) obj의 관계는?
        • In this sentence, what is relationship between sub and obj?
        • In this sentence, sub and obj are?
      • 결과
        • 문장(sentence), 관계(relationship)과 같이 의미가 있는 단어가 함께 들어가는 경우 일반화 부분에서 성능 하락
          • 즉, raw sentence에 영향을 주지 않은 불용어 위주로 구성된 문장일수록 일반화가 더 잘 됨
        • 한글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klue/roberta-large 모델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영어로 문장을 넣어주었을 때도 좋은 성능을 보임
          • 약간의 노이즈로 작용해 오버피팅을 막아주고 일반화에 좋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
  • Model Architecture

    • 현재는 맨 앞의 [CLS] 토큰만을 이용해 분류를 진행
    • An Improved Baseline for Sentence-level Relation Extraction(2019)의 경우, Entity Token Embedding을 이용해 분류를 진행하고 있음.
      • 이를 바탕으로 모델 구조 수정
      • Subject Entity의 시작과 끝 토큰, Object의 시작과 끝 토큰을 concat해서 사용
    • 결과:
      • start token만 넣어주었을 때 보다 end token을 함께 넣어주었을 때 성능이 향상됨
        • (Start, End) 토큰을 함께 줌으로써 해당 문장에서 Entity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모델이 분류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 분석됨.
      • 같은 setting에서도 [CLS] 토큰을 함께 concat 시켜주는 경우에는 성능이 떨어짐.
        • 즉, 문장 전체에 대한 정보를 함께 넣어주는 경우 성능이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 관계 추출 task에서는 문장에 대한 이해 보다는 해당 Entity의 정보에 대한 이해가 더 중요한 것으로 보임.
  • ETC(그 외에도 여러 방법들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 k-fold
    • spelling noise
    • TAPT
    • 모델 output 한 뒤에 LSTM 적용하여 클래스 분류

Ensemble

  • 여러 조합으로 제출한 모델 중 서로 특징이 다른 탑 7을 모아서 soft-voting average 앙상블 시도

최종 결과


깨달은 점

  • Metric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하게 되었음
    • Loss, F1, Auprc 모두 고려하며 상황을 추론하자
  • 일반화의 방향성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음
    • 이미 Test 셋이 어느정도 bias가 있는 상황에서 과한 일반화는 독이 된다
  • 하이퍼 파라미터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음
    • 최고를 찾으려는 것 보다, 상황 마다의 최선의 선택을 하려 노력하는 것이 중요
    • 내가 쓰는 모델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자
    • 하이퍼 파라미터 별 특성도 이해하자
    • 이러한 다각적 이해가 뒷받침 되면 하이퍼 파라미터 튜닝에 쏟는 시각이 비약적으로 줄어들 것

About

level2-klue-level2-nlp-07 created by GitHub Classroom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

Contributors 4

  •  
  •  
  •  
  •